자동차를 오랫동안 운전하다 보면 잊고 있던 채권 환급금이 생각날 때가 있습니다. 5년 이상 된 자동차 채권 환급금, 받을 수 있는데도 모르고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데요.
오늘은 자동차 채권 환급금이 무엇인지, 그리고 어떻게 조회하고 신청할 수 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?
✅꼭 봐야할 추천 글
📌숨은 돈 찾아가세요(못받은 돈 평균 500만원)
📌건강보험료 환급 받아가세요.(1인당 평균 136만원)
📌삼쩜삼 환급 신청방법 및 후기 총정리 A to Z
📌국민연금 환급금 5분이면 조회하고 신청할 수 있어요!
자동차 채권 환급금이란?
자동차 채권 환급금은 자동차를 등록할 때 구입한 채권을 환급받는 것을 말합니다. 1,600cc 이상의 차량은 해당 지역의 ‘지역개발채권’ 또는 ‘도시철도채권’ 중 한 가지를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데요.
이렇게 구입한 채권은 시설 관리와 유지 목적으로 사용되며, 만기일이 되면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 만기일은 보통 5~7년 정도이고,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.
하지만 정해진 기간 내에 환급 신청을 하지 않으면 권리가 소멸된다는 사실, 꼭 기억하세요!
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
환급금 조회 방법
자동차 채권 환급금은 해당 채권의 상환 은행 홈페이지나 모바일 앱에서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지역마다 협약을 맺은 은행이 다르니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.
은행 | 지역 | 온라인 상황 |
---|---|---|
전북은행 | 전북 | 온라인 가능 |
광주은행 | 광주 | 온라인 가능 |
대구은행 | 대구 | 온라인 가능 |
부산은행 | 부산 | 온라인 가능 |
하나은행 | 대전, 세종 | 모바일, 온라인 모두 가능 |
농협은행 | 경기, 울산, 강원, 충남, 충북, 경북 경남, 전남, 창원, 제주 | 모바일, 온라인 모두 가능 |
신한은행 | 서울, 인천 | 모바일, 온라인 모두 가능 |
환급금 신청 방법
자동차 채권 환급금 신청은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됩니다.
- 해당 지역의 상환 은행 홈페이지나 앱에 접속합니다.
- 금융인증서(공동인증서) 또는 회원 인증 후 로그인합니다.
- 공과금 메뉴를 찾아 들어갑니다.
-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미환급 채권을 조회합니다.
- 환급 신청할 채권을 선택합니다.
- 환급 정보를 확인하고 입금받을 계좌를 입력합니다.
- 환급 신청을 완료하고, 입금 여부를 확인합니다.
환급금은 채권의 만기일이 지나면 소멸되니, 조회와 신청을 미리미리 해 두는 게 좋겠죠?
※참고로 환급금에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으므로 별도로 신고하거나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.